레드마인 적용기 올린지가 언제인지 기억이 안 날 정도가 되어 버렸군요..
혹시 회원님들 중에 레드마인 사용중이신 분들이 계실까봐 가벼운 팁(?) 공유 차원에서...
레드마인을 회사에 적용, 사용하면서 왜 이 생각을 못 했을까요?
현재 레드마인의 기본 사용법을 레드마인 이용가이드라는 이름의 파워포인트 문서 파일로 작성해서
레드마인의 파일에 올려놓고
필요한 사람의 경우 다운받도록 해 놓았습니다.
그리고 위 이용가이드외에 매뉴얼은 레드마인의 위키에 작성해서 업데이트 하고 있었고요.
그런데 김지소님의 바람 불면 좋은 나 블로그에 있는
Redmine 도움말 링크를 자체 사용자 가이드 링크로 바꾸기
포스트를 보고
아차 싶었네요.
저 역시 레드마인의 기본 도움말 링크를 위키 URL로 변경하면 되는데 말이죠..
그래서 작업에 들어갔습니다.
그런데 현재 제가 사용중인 레드마인은 Bitnami Redmine 이 아니라서 경로가 다르네요..
현재 구성중인 환경은 이렇습니다.
nginx > 1.7.3
redmine > 2.5
mysql > 5.6.19
로 컴파일 설치해서 사용중인데
이 경우 레드마인의 도움말 url 변경을 위해 수정해야 할 파일의 경로는
레드마인 설치 디렉토리/lib/redmine 이고
수정해야 할 파일명은 info.rb 입니다.
def help_url; 'http://www.redmine.org/guide' end
위에 있는 url을 원하시는 url로 변경하신 후 웹서버를 리부팅 해주시면 적용 완료!!!
혹시 Bitnami Redmine 을 사용중이시면 김지소님의 블로그를 참고하셔서 수정하시면 될 듯 합니다. ^^;;;
댓글 3
-
안그래도 최근들어 레드마인에 더 관심이 생겨서 담덕님 글을 몇번인가 더 탐독해 보았습니다. 본격적으로 써볼려니 서버를 운영해야한다는 점이 조금 걸려서 진도가 안나가고 있어서 고민입니다. -_-; 아참. 혹시 레드마인 사용중에 누적된 데이터의 백업이나 복구도 어렵지않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. 좋은글 항상 감사드립니다.~
-
백업, 복구는 걱정하시는것 보다 쉽게 잘 됩니다. 레드마인의 백업이라는게 결국 DB로 사용중인 MySQL 의 백업과 복구이기 때문에 리눅스든 윈도우든 어떤 서버로 하던 배치로 일일백업을 해서 백업파일을 관리하면 될 것 같습니다. 저같은 경우 역시 새벽에 일배치로 일자별 백업파일을 생성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. 또한 서버 운영이라는 점에서는 당연히 비전문가들이 어렵게 느낄수 있겠지만 내부적으로(윈도우 사용시)만 사용할 경우에는 pc사용과 같다고 생각하셔도 될 정도로 쉽게 접근 가능하실 수 있습니다. Bitnami Redmine을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더 쉽게 접근 하실 수 있으실거에요.. 이미 GTDLog.com을 운영하시면서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. ^^
-
아. 그렇군요. 담덕님 말씀처럼 너무 어렵게 생각한 걸지도 모르겠네요. ^^;;; 답변 감사합니다.~